안녕하세요.
고맙습니다 입니다.
그 동안 메인 PC시스템을 너무 외면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간 무관심하게 대한 것을 반성하고, 지금부터 짬짬히 놀아줘야겠네요~
마땅한 에피소드가 없어서 개인이야기는 접어두고요~
오버하지 않은 상태의 필자의 상큼한 바탕화면을 구경하는 것부터 시작해요!
bofore.

흠흠..

운영체제는 Windows_7 x86(32bit) 입니다.

CPU-Z 주요 전체샷~

i5 750의 노말로 셋팅한 모습니다. (터보부스터 적용되어 있는 상태.)

메인보드는 P55-GD65 모델입니다.

램은 게일 블랙드래곤 PC3 12800 CL9 모델이예요~ (2GB X 2)

Core Temp 샷~
미처 하지못한 작업들이 있는데요, 오버하기전의 모습이니까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여~
바로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자, 오버 클럭을 적용한 모습을 아래에서 보게될텐데요.
진행하는 방식이 거의 똑같겠지만 쌩뚱맞은 이미지가 나오더라도 넓은 마음으로 이해해주세요~
after.

므흣~ *-_-*

오버클럭 적용후 풀샷~ (정작 중요한 내용을 잘 안보이겠지만 과정을 위해;;)

터보부스터 작동중. -_-땀.

X.M.P로 셋팅되어진 모습이예요~ 후후..

휘리릭~

오옷.. 아쉽게 가려진.. -_-a

Core Temp로 체크한 모습이고요, 온도가 달라요~ (음?)
아래에 보여지는 정리한 이미지를 보세요!

오버클럭 미적용: 35'~38' 오버클럭 적용: 52'~54'
이렇게 오버클럭을 적용한 것과 오버클럭을 적용하지 않은 차이를 한 눈에 알수가 있어요.
가르치고자 하는게 아니라 글을 적을때 이렇게 적어야만이 편해서 모쪼록 이해해주세요~!! -_-;
이 글의 마지막 피날레는 super_pi_mod-1.5로 장식했습니다.
대단한 거라고는 전혀 없지만 가볍게 4M로~ (추후 계속 오버 인증샷을 보여드릴테니까요.)

저 바탕의 주인공은 소녀시대의 수영이! 하지만 굴습;;

지금까지 Windows_7 32bit에서 X.M.P를 통해 오버클럭을 한 모습이였습니다.
다음에는 조금더 깊이(?)있는 모습으로 뵈어요~ 슝 = 3 3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