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3월 28일 일요일

MSI H55 E33 + 클락데일 530 중급오버클럭 01 홍대화님.

테스트 환경
CPU : intel i3-530  

M/B  : MSI H55 - E33 (공구예정보드)
RAM : 삼성 DDR3 PC10600 1GB x2 

VGA : 8800gt

PSU : 에너멕스 노이즈테이커 701AX
OS : Windows XP 32bit sp3

 

자 초급을 통해 오버클럭을 하면서

 

클락데일에 감취진 무한한 가능성을 눈치채신 분들을 위해

 

마련했습니다.

 

 

중급부터는 각종 전압과 배수를 다루는 것을 공부할 시간입니다.

 

전압과 배수를 만지기 시작하시면서

 

원하는 램 클럭. 시퓨 전압. qpi클럭 및

 

각종 전압을 만지는 스킬을 배우시게 될 겁니다.

 

 

 

먼저 530 오버클럭을 위한 준비물과 개념에 대한 이해를 공부하겠습니다

 

 

 

1. 고클럭을 원하는가?

 

 

앞서 제시해드린 3.5~6 정도로 만족은 하지만..

 

난 좀 더 고클럭을 원한다!!

 

내가 아는 클락데일은 이정도가 아니다!!

 

4기가 이상 누구나 할수 있는 것으로 알고있다!

 

 

예!! 그렇습니다. 4.2~4정도는 누구나 함락할수 있는 가벼운 클럭입니다!!

 

자 그럼 어떤 설정을 하는게 최고의 퍼포먼스를 끌어낼지 같이 고민하면서

 

생각해 봅시다^^

 

 

 

2. 고클럭을 하기 위한 준비물

 

다른거 필요없습니다. 하하하!

 

그냥 정품쿨러인 쵸코파이 쿨러를 제외한 2만원 정도선 되는 쿨러 하나만 있으면

 

누구나 4~4.4기가 정도를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클락데일 530 같은경우 32나노 공정으로 워낙에 발열이 적고!!

 

워낙에 저 전력이기에 오버클럭도 권장하고 싶습니다.

 

초코파이 쿨러로도 어느정도 세팅하실줄 안다면 4기가 정도는 정복할수 있으니까요^^

 

저는 요놈으로 한답니다^^

(위엣 놈으로 하고 있지만 밑에녀석으로 해도 큰 무리없을겁니다^^)

 

뭐 크게 엄청난 클럭을 바라는게 아닌지라 하하'

 

 

가격대 성능비 꽤나 괜찮은 제품입니다

 

물론 다른 제품도 괜찮겠지만 뭐 뽀대도 좋아서 ㅎㅎ 

 

 

 

3. 시퓨 전압은 어느정도 선이 알맞을까?

 

일반적으로 시퓨의 오버는 뽑기에 좌우합니다.

 

하지만 그 뽑기마져 무색하게 만드는 것이 32나노의 힘

 

바로 클락데일의 오버클럭 능력입니다.

 

다시한번 강조하지만 미세공정의 저전력 저 발열과

 

공정의 안정화가 그 답이겠지요.

 

 

중급부터는 시퓨쿨링에 2만원 정도는 투자하셨을거라 가정하에 이야기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4.4기가는 1.5이하의 전압에서 안정화가 가능합니다.

(물론 안되는 놈도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530 시퓨가 가능할것으로 생각됩니다.)

 

E33보드는 거듭된 바이오스 업을 통해 좀더 안정된 퍼포먼스를 보여주기위해

 

1.2 버젼 이후부터는 시퓨 최대 인가 전압을 1.45정도로 낮추었습니다.

 

하지만 언제나 그렇듯 기다리면 답이 있듯 다시 워래 바이오스 스펙대로 1.6가까이 추가해줄것이라 생각됩니다.

 

 

일단 아무리 오버가 잘 안되는 시퓨라도

 

 

1) 시퓨 전압은 e33보드에서 최대로 줄수 있는 +0.302주시고!!(안정화후 점차 낮춰주셔야 합니다)

 

2) vtt전압은 1.3~1.4 사이 정도 추천합니다.

시퓨마다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개인적으로 1.35에 한표입니다^^

 

3) 램전압은 쿨링 따로 필요없이 1.75정도 추천합니다.

일단 팍팍 넣읍시다!! 굳이 이정도까진 필요없지만!!

램이 발목잡는건 싫으시자나요? ㅎㅎ

 

4) 전력관리 기술은 켜놓으셔도 안켜놓으셔도 무방합니다.

 ( 전 키지 않고 하였습니다^^)

 

 

4. 필자가 추천하는 4.3기가 오버클럭 세팅

 

 

 

그냥 점수놀이가 목적이 아닌

 

고클럭에 실사용이 목적이므로

 

굳이 하이퍼 쓰레딩을 끌 필요는 없습니다

 

오히려 하이퍼 쓰레딩을 키기를 권장합니다^^

 

클락데일이 타 듀얼코어와 차별화 되는 가장 큰 장점 중의 하나인

 

논리 4코어 즉!! 하이퍼쓰레딩을 굳이 끌 필요가 있을가요? ^^

 

 

 

 

 

 

역시 듀얼코어 모두 사용하는 세팅을 추천 드립니다^^

 

굳이 싱글 쓸 필요가? ㅎㅎ;;

 

 

 

 

 

 

blck는 196 즉!

 

196 x 22배수 해서 4.3기가 의 세팅입니다!!

 

메모리 디바이더는 1 : 4 즉!! 4배수를 추천드리고요 잘 안되면 1:3 을 추천드립니다.

 

QPI배수는 3200을 넘지 않는 14~15배수를 추천드립니다.

 

물론 그 이상도 가능하지만

 

그건 고급에서 배우기로 하겠습니다^^

 (정품쿨러 즉, 기본쿨러를 사용하시는 분들껜 4기가 정도에 전압 1.25~1.35정도 를 추천드립니다)

 

 

 

 

 

 

 

많은 사람들이 삼성램을 사용하기에

 

삼성램 기준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trfc는 고클럭 줄때 풀어주는게 이득이므로 110정도로 풀어주었으며

 

그 밖의 램 타이밍은 9-11-11-24(~33) 정도로 추천하며

(혹은 9-9-9- 의 세팅도 추천드립니다)

 

나머지는 그냥 오토 설정이면 크게 문제없습니다.

 

물론 램타를 조여서 성능향상을 노리는것도 가능하지만

 

굳이 지금 단계에선 여기까지 파고들 의미는 없습니다^^

 

(^^; 램 채널이 두개인데 둘다 같은 세팅으로 바꿔주시는게 맘편하겠죠?^^)

 

 

 

 

 

 

 

이미 싸제 쿨러이신분들은 +0.302 로 현재 MSI H55 E33 보드 1.5 바이오스에서 지원하는 최대값을 넣어주시면되고

 

vtt전압은 1.35 추천합니다^^ 좀 더주시거나 낮게 주셔도 큰 상관은 없습니다.

 

램전압은 1.65~1.8 사이로 주시길 권장합니다.

 

일단 높이 주셔서 안정화 값을 확실히 찾으신 다음

 

점차 낮추시는 방법을 추천합니다

 

 

 

5. 오버클럭 결과!

 

 

 

 

 

무난하게 4.3기가 오버 성공입니다^^

 

두번째 샷의 램타는

 

램 디바이더를 낮추면서 좀 살짝 조여봤습니다.

 

절대 오토로 두시는 건 비추합니다.

 

램 오토설정시 1:3디바이더에서 600이하시에

6-6-6-15 및 세부램타가  엄청 쪼여지기 때문에

불안정해질수 있습니다.

번거로우시더라도

7-7-7-24-88<74>-10-5-4-5-20이나

8-8-8-24//6-6-6-24//5-6-6-24//(이하 세부세팅은 같음)

위에 스샷 세팅으로 하시길 추천합니다.

 

추가로 -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QPI 22배수해서

4500정도 들어가는것이 낮은 QPI클럭 들어가는것보다

더 안정적인 느낌이 들었습니다.

전 22배수 추천하지만 직접써보시고 결정하시는것도 나쁘지 않을듯 합니다.

 

낮은 qpi에서 안정화가 잘 안된다면

22배수의 qpi배수로 다시해보는것도 어떨까 합니다.

 

 

 

 

다음시간부터는

 

오버세팅시 시퓨클럭을 제외한 램과 qpi부분..

 

즉 전반적인 시스템 퍼포먼스 향상을 위한 세팅값을 세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