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3월 28일 일요일

MSI H55 E33 + 클락데일 530 중급오버클럭 02 홍대화님.

나우퍼그에서 오버클럭대회가 진행중 입니다.

다양한 부문으로 상품이 제공 되어지고 있으니..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 이미지나 '보러가기' 누르세요~

 

 

 

테스트 환경
CPU : intel i3-530  

M/B  : MSI H55 - E33 (공구예정보드)
RAM : 삼성 DDR3 PC10600 1GB x2 

VGA : 8800gt

PSU : 에너멕스 노이즈테이커 701AX
OS : Windows XP 32bit sp3

 

 

1. qpi 클럭이 전반적인

           성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qpi의 정확한 역활은 저도 모릅니다...만!!

 

벤치를 통해 어떠한 성능 향상이 이루어지는지는 잘 알고 있습니다.

 

 

1) qpi 4564

 

 

 

 

2) qpi 2905

 

 

 

 

 

 

이 비교 대조군을 통해 알수 있는것은

 

역시 전반적인 대역폭과 레이턴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번시간에 알아보고자 하는 것은

 

바로 시스템 퍼포먼스 최적화

 

혹은 최대한의 퍼포먼스를 끌어내는데 목적이 있다.

 

 

 

우리는 MSI h55 e33 보드와 530의 조합에서

 

4.35의 시퓨 오버클럭 세팅을 알아봤으며

 

안정화를 하였다는 가정하에 이야기를 하겠다.

(물론 필자의 시스템에선 가능하였다)

 

 

 

2. qpi의 안정값은 어느정도 인가요?

 

아직 이 클럭에 대한 말이 많다.

 

3200을 넘겨선 안된다는 설도 있고.

 

vtt전압에 상관없다는 설도 있고.

 

여러가지 말이 많은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삽질해본 결과 MSI H55 E33보드에서

 

가장 추천하고 싶은 전압은 VTT 1.35v 이다

 

물론 고클럭 오버가 아닐시에는 굳이 1.35까지 주지 않아도 상관이 없다.

 

 

 

안정화는 LINX를 통한 안정화보다는

 

prime95를 통하여 알아보는 것을 추천한다.

 

아직까지는 어떤 값이 확실히 안정적이다 라는 말을 입에 담기에는

 

너무 이르지 않나 싶다.

 

 

 

아직 h55바이오스나 대부분의 보드들이 최적화의 완성도가 떨어진 느낌이 있다.

 

좀 더 기다려보며 좀 더 다듬어진 바이오스가 나오고 나서 판단해도 늦지 않다고 생각한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qpi클럭에 대한 안정화 값은

 

4500정도는 세팅에 따라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며

 

그렇게 쓰고있다^^

 

 

삽질과 삽질의 끝에 얻어낸 최적세팅으로

 

안정적으로 사용중에 있음^^

 

 

------------------------------------------------------------------------------------------------------

 

1) linx의 특징

 

linx의 가장큰 장점으로는 시퓨의 발열을 극대화 시켜

 

가혹환 환경에서 반복되는 시퓨의 연산처리를 통한 오류가 나는지 안나는지

 

테스트 하는데 목적이 있다. 좋지 못한 쿨링상태에서 좋은 효과가 보인다.

 

시간이 무척 짧게 걸린다는 장점!이 있다.

 

 

 

2) prime95

 

linx만큼 시퓨의 발열을 극대화 시키진 않지만

 

램부분이나 qpi부분등의 대역폭과 관련된 오류를 잘 잡아내는 편이나

 

시간이 무척 오래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개인적으로는 prime95를 더 추천한다.

 

일반적인 시스템 사용에서 prime95 만큼 시스템을 혹사시킬 경우도 거의 없기 때문이다.

 

------------------------------------------------------------------------------------------------------

 

 

 

2. qpi의 과오버시 어떤 증상이 있나요?

 

개인적으로 찾을수 있던 증상은

 

대표적인

 

" 연산오류" 이다.

 

 

super pi 를 돌리는데 있어..

 

qpi가 낮은 클럭보다 높은 안정화가 되지 않은 세팅에서

 

파이벤치가 더 낮게 나오기도 했으며

 

아바온라인 이라는 게임을 돌릴때

 

차마 입에 담지 욕설이 나올정도로 버버버버버버벅 거렸다.

(내 아바 스코어 어쩔..ㅠ_ㅠ)

 

------------------------------------------------------------------------------------------------------

Super pi란?

 

여러분들도 대부분 아시는 원주율에 관련된 연산 프로그램으로

 

과거 시퓨의 성능을 측정하는 잣대로 엄청난 신뢰도가 있었지만.

 

시퓨의 아키텍쳐 자체가 과거와 많이 바뀌기도 했고

 

또한, 각종 시퓨 명령어를 탑재하게 되면서 과거보다는

 

벤치의 신빙성은 떨어지긴 했지만. 동일 시퓨나 동일 아키텍쳐의 시퓨에서의

 

클럭에 따른 성능 테스트에 관해서는 아직도 신빙성 있는

 

전통적인 싱글쓰레드의 테스트로

 

제대로 오버 안정화가 이루어지지 않았을시에는

 

연산오류로 중간에 튕기거나 연산시 측정되는 벤치값이 오히려더 낮게 나오는 경우가 있음

 

------------------------------------------------------------------------------------------------------

 

 

qpi클럭이 전반적 퍼포먼스를 끌어내는데 상당한 역활을 하지만

 

양날의 검과같이.

 

시퓨클럭보다 연산오류에 더 민감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낮은배수부터 시작하여 높은배수까지

 

노가다를 통한 안정적인 시스템 세팅을 찾는 방법밖에는 답이 없다.

 

 

이유인즉..

 

보드마다..

 

시퓨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보드의 바이오스마다의 특성에 좌우된다고 생각되어짐)

 

다 시스템 환경이 다르기 때문이다.

 

 

 

3. qpi 클럭 과연 어떤것이 적당할까?

 

확실하게 말할수 있는것은.

 

1) Super pi 나 Cine벤치등의 벤치를 이용하라

 

슈퍼파이나 시네벤티등을 통한 벤치시 낮은 qpi의 클럭보다

 

벤치값이 낮다면 과감하게 qpi 클럭을 낮춰라.

 

 

2) prime95를 이용하라

 

시간은 오래걸리지만

 

이녀석만큼 대역폭 잘갈구는 놈 찾기 힘들다^^

 

4시간 돌아갔다면 맘편하게 사용하자!! ㅎㅎ

 

 

 

QPI클럭에 대해선 아직도 의견이 분분하지만

 

바이오스의 미완성으로 완성도가 높은 보드도 있겠지요?

 

하지만 편차가 있다는 것은 아직도 더 좋은 바이오스업이 기다려진다는 것도 사실입니다^^

 

보드마다 시퓨마다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인지하시길 바라며

 

노가다를 통해 최적값을 찾는 수밖에는 없습니다^^

 

림들~ 모두 화이팅요!

 

 

 

 

 

다음시간에는

 

램 세팅 및 퍼포먼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