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우퍼그에서 오버클럭대회가 진행중 입니다.
다양한 부문으로 상품이 풍성하게 제공 되어지고 있으니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 이미지나 '보러라기' 눌러서 이동 해보세요~ 보러가기
테스트 환경
CPU : intel i3-530
M/B : MSI H55 - E33 (공구예정보드)
RAM : 삼성 DDR3 PC10600 1GB x2
VGA : 8800gt
PSU : 에너멕스 노이즈테이커 701AX
OS : Windows XP 32bit sp3
조만간 공구도 있을 예정이고.
그 동안 530과 함께 쓰면서 느낀점과
오버시 필요한 세팅에 대하여 이야기 해보려 합니다.
여기 저기 뒤져봐도 아직 E33과 530의 조합에 대한 사용기가 적기에
많은 클락데일 사용자와 530 유저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바이오스의 기본 세팅*
오버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바이오스 설정입니다.
전력관리 기술이 오버 클럭시 장애가 될 경우의 수도 있기 때문에
될 수 있으면 EIST, C-State, C1E, 등의 전력관리 기술은
Disable로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나중에 원하는 오버 세팅을 하신뒤 전력관리 기술을 다시 세팅하는것을 추천합니다.
1. 시퓨 클럭은 어떻게 정해지는 건가요?
기본 상태에서 바이오스를 들어가게 되면 이런 모습이 보일겁니다.
클락데일 530의 기본클럭은 2.93기가 입니다.
이것은 시스템 버스(blck) 133이라 표기된 것과 22라고 표기된것의 곱 즉
133x22배수 해서 약 2.93의 클럭이 나오는 겁니다.
만약 배수를 20으로 낮춘다면 133x20 해서 2.66기가가 되겠죠?^^
이 것이 시퓨의 클럭을 정하는 기준입니다.
blck 와 배수의 곱으로 클럭이 정해지게 되는 것이지요.
2. 램 클럭은 어떻게 정해지는 건가요?
memory ratio는 램 클럭에 대한 것입니다.
1:2 // 1:3 // 1:4 // 1:5 등 클럭을 정하는겁니다. 좀 더 간단히 생각하면 blck 클럭에 비해 2배 3배 4배 5배라고
볼수 있겠죠? ^^
앞서 표기한 시스템 버스(blck) 133 클럭에 대하여 오토에서는 ( 1:5 디바이더 ) 가 적용되어
133 : ? = 1: 5 의 비율이 되는 겁니다. 간단한 계산을 해보면
램클럭은 666의 클럭이 됩니다
이는 삼성 ddr3 pc10600의 기본클럭인 666의 클럭이 나오는 시스템입니다.
만약 오토를 1:4로 세팅한다면
133 : ? = 1 : 4 해서 533정도의 클럭 즉 삼성램 ddr3 8500의 클럭이 나오겠죠.
이런 계산 방식으로 램 클럭이 정해지게 되는 것입니다.
이 램계산은 필히 알고 계셔야 더 원할한 오버를 할 수 있습니다.
3. QPI Ratio는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QPI 클럭은 전반적인 향상에 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빠릿함의 상징이라 불리는 레이턴시나 메모리의 성능을 극대화 시키는 역활을 하지요
기본클럭은 5866으로 표기되는데
이는 blck 133 x 22 배수 해서 2933의 클럭이 나옵니다.
바이오스 표기시엔 2배수가 더해져서 표기되는 것이니
크게 혼동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이 QPI 의 클럭이 크면 대역폭 퍼포먼스가 좋아집니다.
램대역폭(?)이나 빠릿함등이 달라진다는 거지요^^
이것또한 앞서 말한 blck와의 관계가 있으면 바이오스 옵션상의 QPI배수로 조절이 가능합니다.
QPI 클럭을 무시하지 마세요.
시스템 전반적인 성능.. 데이터 간의 이동. 퍼포먼스를 관장하고 있기때문에
시퓨가 받아주는 이상의 QPI클럭을 넣게되면 시스템이 불안정해집니다.
그렇기에 정규클럭정도 클럭에 가깝게 세팅하는것을 권장합니다.
그냥 오토로 두시면 됩니다^^
4. 오버 예제
1) blck 133 x 22배수 해서 2.93기가의 시퓨 클럭인 상태에서
시퓨만 오버를 하고 램 은 정규 클럭 내에 두기위해선
- blck 133 -> 166 주면 클럭은
166x 22배수 해서 3.65정도의 클럭이 됩니다.
그렇다면 램 클럭은 램 디바이더에 따라 결정되어 집니다. 제 램은 666이 정규클럭이기 때문에
166 : ? = 1 : 4 해서 램 클럭 ? = 666 즉 정규 클럭이 들어가게 됩니다.
좀 더 높은 램 클럭을 원한다면 램 디바이더를 1:5로 바꾸면 되겠죠?
166 : ? = 1 : 5 해서 램 오버도 가능합니다. 이런 경우 램이 830의 클럭을 가지게 되겠네요 ^^
시퓨와 마찬가지로 램도 오버가 가능합니다^^
qpi클럭은 3200 언더로 생각하여
166 * 18배수 하여 2988정도의 클럭이 나옵니다 . 안전빵이죠^^
2) blck 133 x 22배수 해서 2.93기가의 시퓨 클럭인 상태에서
시퓨는 두고 램만 오버클럭하기 위해선
- blck와 램 디바이더의 조합으로 원하는 램 오버를 이끌어 낼수 있습니다.
그런데 원하는 램 클럭이 830이라면
blck( ? ) : 830 = 1 : 5 해서 blck가 166이 나옵니다.
그런데 기본 배수가 22배수이기때문에 166 x 22 해서 3.65정도의 클럭이 나오죠?
그럼 시퓨가 필요이상으로 오버가 되었을때 배수를 낮춰주면 됩니다.
blck(166) x 18배수 = 2.98정도의 클럭이 나오는데 이정도는 거의 문제없는 클럭입니다^^
qpi클럭은 2933 디폴트 클럭을 기준으로 생각하여
166 * 18배수 하여 2988정도의 클럭이 나옵니다 . 큰 차이없기 때문에 문제없습니다.
3) blck 133 x 22배수 해서 2.93기가의 시퓨 클럭인 상태에서
QPI 오버에 대하여
시퓨마다 보드마다 편차치를 보이지만
QPI의 배수는 전반적인 시스템 성능 향상에 관여하기 떄문에
QPI클럭도 오버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전반적인 성능 향상이라고 볼수 있겠죠?
QPI 배수가 존재하기에 시퓨가 받아주는 적절한 선에서 선택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개인적으로는 3200 언더를 추천합니다. blck와 QPI배수 조합으로 원하시는 값을 세팅하실수 있습니다.
5. 전압은 어떤 역활을 하나요?
많이 일할려면 많이 먹고 해야것죠? 너무 적게 먹어도 일 제대로 못하고
너무 많이 먹으면 더부룩해서 일할때 불편하고.
전압의 역활이 바로 그것입니다.
전압을 많이 주면 시퓨에서 발열이 더 나게 됩니다.
그럼 쿨링의 중요성이 커지겠죠. 알맞은 전압을 인가하는 것이 좊습니다.
너무 부족한 전압보다는 약간 여유있는 전압이 좋습니다.
밥을 많이 먹으면 살찌는 것처럼 전력소모가 늘고요.
물론 클럭이 높아져도 전력이 상승하지만 32나노의 힘으로
전력 상승폭은 무척이나 미비하며 클락데일이 지원하기도 하고 보드에서 지원하기도 하는
전력 절감 기술로 이젠 전력에 대해선 크게 신경 쓸 필요는 없습니다^^
세상 참 좋아 졌죠? ^^
1) 시퓨전압
오버클럭의 시행착오를 간단히 거치면서 조금씩 기본전압에서 올려주면되지만
그냥 기본전압 상태로 놔둬도 괜찮습니다.
워낙 발열이나 전력소비가 적으니까요~
그냥 오토로 두세요~
2) vtt전압
이것도 오버에 필요한 전압입니다만!!!!
국민오버시엔 특별히 건드릴것은 없습니다. 그냥 오토로 두세요^^
3) 램전압
이건 램 오버에 따라 다르지만 이것도 오토로 두시길 권장합니다.^^
일반적으로 1.8정도까지 줘도 크게 발열이 없어 무리없습니다.
불안하시면 1.8 언더로 주시고 귀찮으시면 오토로 주셔도 무방합니다. 크게 신경쓸만한 옵션은 아닙니다.
다음시간에는 올 오토에서 blck만의 변경을 통한 국민오버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