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3월 30일 화요일

MSI H55 E33 + 클락데일 530 오버세팅 홍대화님.

나우퍼그에서 오버클럭대회가 진행중 입니다.

다양한 부문으로 상품이 제공 되어지고 있으니..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 이미지나 '보러가기' 누르세요~

 

 

 

 

 

 

이번시간 부터는 오버에 대한 개념이나 잦은 삽질로 스킬이 상승했다는 가정하에

 

제가 쓰기 쉽게 풀어써보겠습니다^^ (두서없이 쓰겠다는 말..ㅠ_ㅠ 쉽게 전달하기가 너무 어려워요;)

 

 

1. qpi 클럭과 vtt전압 과 시퓨 전압의 관계.

 

가끔 커뮤니티를 돌아다니다 보면 qpi 클럭이 3200이하가 안정적이라는 소리가 있는데.

 

보드마다 다 특성이 다른거라고 생각합니다.

 

e33보드에서는 4500이상의 qpi클럭을 뽑아주고 또 안정화가 됩니다.

 

고로 굳이 3200언더를 생각하지 않아도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고클럭 뽑아내기 점수놀이가 아니라면

 

qpi 22배수를 주어 퍼포먼스 증대를 내세우는게 좋을듯 합니다.

 

 

 

vtt전압이 보통 qpi 클럭에만 관여하는것은 아닌듯 하더군요.

 

일정 4기가 이상의 클럭에서 전압 다이어트를 시도해보다가 안 것이지만.

(인텔h55tc보드를 제외하고는 처음써보는 530시스템입니다. 기존 인텔에서는 vtt 별로 신경안쓰고 오버해서-_-)

 

시퓨가 고클럭이 먹을때 qpi 클럭을 기본클럭 2900대 이하로 맞춰도 vtt전압을 오토로 두면 제대로 안정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연산오류나 블루스크린이 나오더군요.

 

물론 이것도 보드마다 특성이 있는지라.. 제가 이래저래 정보를 알아보니 오토에서 되는 보드들도 있었습니다.

 

 

 

가장 중요한 vtt전압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오버를 목적으로 하시는 분이라면

 

1.33~1.37 사이로 맞추시길 권장합니다.

 

이 보드가 재미있는게 전압을 덜 줘도..

 

전압을 더줘도..

 

부팅이 안되거나 연산오류되거나 블루스크린등

 

약간 까탈스러운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E33보드의 VTT전압 특성을 몰랐을때

 

msi사용자들끼리 모여서

(gd65나 ed55나 등등 네이트온에 아는 사람들끼리 이야기를 주고 받아 보고 직접 테스트하면서)

 

알아본 결과 모든 문제는 vtt전압의 특성에서 비롯했기에

 

개인적은 도출로는 역시 vtt 전압은

 

1.35가 가장 정당하고 오버도 가장 잘된다

 

 

 

였습니다.

 

 

 

진짜 삽질이 많았는데 이걸 알아내고 난뒤엔 수월하게 램클럭이면 램클럭

 

시퓨 클럭이면 시퓨 클럭

 

qpi클럭 이면 qpi클럭 쭉쭉

 

뽑아냈습니다.

 

 

 

 

2. 바이오스와 전압 관련, 그리고 램슬롯

 

바이오스가 거듭 업데이트 되면서 안정적으로 됩니다.

 

qpi배수가 풀리면서 오버가 더 잘되지요.

 

근데 시퓨 전압 설정이 약해졌다는;;

 

이건 추후 msi에 베타바이오스라도 내보라고 이야기해볼 생각인지라 ㅎㅎ

 

바이오스는 꼭 1.5로 업데이트 하고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듀얼램쓰면 상관없지만

 

저처럼 트리플 쓰는 경우 램슬롯을 시퓨에 가까운 슬롯부터

 

1.2.3.4. 로 한다면

 

1.2.4.에 박으시길 권장합니다.

 

 

기억이 맞는지 모르겠는데 이것때문에도 한참 삽질해서;;

 

2.3.4.에 박았을때 램 오버가 너무 심할정도로 오버가 안된 기억이 있네요.

 

 


오버시에 시퓨 배수를 22배수에서 더 낮은 배수로 바꾸면

 

시퓨지에서 표시되는 인가되는 전압의 양도 줄어듭니다.

 

하지만 실제로 안정화에 필요한 바이오스에 넣는 전압이랑은 큰 상관이 없다는걸

 

알아냈기에. 너무 연연하지 않으셔도 될듯 합니다.

 

 

 

참고로 blck클럭은 이정도면 기대이상으로 잘 오른다고 생각되네요.

 

 

 

지금 제가 사용하고 있는 세팅입니다.

ed55보드이긴 하지만

 

오버에 잇어서 e33보드와의 큰차이는 거의 없고 있다면

 

시퓨전압이 이보드가 약간 더 인가가 가능하다는 것의 차이겠지요.

 

4.55까지는 윈도우 진입되지만 역시 안정화는 쿨링이나 전압이 부족해서 ㅎㅎ

(스샷의 전압은 전력관리 기술을 활성화 시켜서 그렇고요 실제로는 1.47정도 들어갓습니다.)

 

 

아마 4.5정도는 안정화될듯한?

 

램 전압 풀로땡기니까 8-8-8-에서 안정적으로 860이 들어가더군요.

 

엠뒤에서는 7-8-8-로 840 정도로 쓰던 램이라.

 

쪼여쓰기에는 괜찮은 엠뒤용 램이라고 표현해도 괜찮은 오버율 입니다.

 

실제로 파이놀이 한다면 1950까지도 클럭을 뽑아줍니다.

 

 

안정화랑 클럭놀이는 다르니까 뭐 ㅋ

 

 

 

램 오토로 두시는건 안좋습니다.

 

시퓨 고클럭을 위해 1:3디바이더로 600언더 정도 클럭이 들어갔을때

 

6-6-6-15에 세부램타 미친듯이 조여서

 

시스템이 엄청 불안정해지더군요.

 

귀찮으시더라도 램타는 수동으로 넣어주시는게 좋습니다.

 

 

 

 

오버 실패했다가 다시 5번 리트라이후 다시 바이오스에 들어가게 되면

 

램타 설정해 놓은게 리셋되어 초기 9-9-9-램타가 들어가기에

 

다시 수동으로 만져주시는 게 좋습니다.

 

 

 

바이오스에서 7-8-8- 주시더라도

 

시퓨지나 에버레스트에서 8-8-8-로 나올텐데.

 

표기의 오류입니다.

 

실제적으로 테스트 결과 시퓨지에 뜨는 같은 8-8-8-이더라도

 

7-8-8-일때랑 8-8-8- 일대랑 퍼포먼스에서 차이가 있었습니다.

 

 

시퓨지나 에버레스트에 표기되는 수치에 연연하지 않으셔 도 됩니다^^

 

 

 

 

 

 일단 지금 기억나는 것만 적었습니다.

 

2부가 더 있을지 없을지 모르겠지만.

 

꼭 필요한 내용이라면 2부에서

 

아니라면 2부는 없습니다~ 질문은 주시면 될수있으면 바로바로 답변  드리겟씁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